Big Changes to EV & Energy Tax Credits – Act Before It’s Too Late

We’re providing some important tax updates that could affect your plans if you’re thinking about buying an electric vehicle, making energy-efficient upgrades, or even boosting your retirement savings.

Thanks to the recently signed One Big Beautiful Bill Act, several valuable tax credits are ending soon so it’s critical to plan ahead.


Thinking About an Electric Vehicle? Act by September 30, 2025

If you’re considering an electric vehicle for personal or business use, now is the time to act. Three major tax credits are ending:

  • Commercial Clean Vehicles Credit (Section 45W): Up to $40,000 for heavy-duty EVs and $7,500 for light EVs.
  • New Clean Vehicle Credit (Section 30D): Up to $7,500 for qualifying new EVs.
  • Previously Owned Clean Vehicle Credit (Section 25E): Up to $4,000 (or 30% of the purchase price) for eligible used EVs.

Want the credit? Your purchase must happen before September 30, 2025.


2025: Your Last Chance for Solar & Energy Tax Credits

If you’ve been thinking about adding solar panels or energy-efficient upgrades, don’t wait.

  • 30% Residential Clean Energy Credit (RCEC): covers solar panels, geothermal heat pumps, small wind energy systems, and more.
  • Home Energy Improvement Credits: up to $3,200 in annual tax credits for insulation, windows, heat pumps, and more.

Installations can take months—everything must be completed and in service by December 31, 2025.


Business Owners: Travel Deductions Done Right

Attending business seminars or conventions? Here’s how deductions work:

  • North American events are generally deductible if they benefit your business.
  • Foreign conventions and cruise ship seminars have stricter rules and caps.

Proper documentation is key to keeping your deductions safe.


High-Income Business Owners: Supercharge Your Retirement

Are you a solo business owner earning a steady six- or seven-figure income? A Defined Benefit Plan could let you:

  • Contribute $70,000 – $300,000+ annually
  • Save six figures in taxes each year
  • Build up to $3.5M for retirement

This strategy is especially powerful if you’re age 50+ and want to accelerate your retirement savings.


Gift Smart: What You Need to Know for 2025

  • Annual gift tax exclusion: $19,000 per recipient ($38,000 for married couples).
  • Lifetime estate & gift tax exemption: $13.99M per person ($27.98M for couples).

Certain gifts (like tuition payments or medical expenses paid directly to providers) are always tax-free.


Next Steps

These tax-saving opportunities won’t last forever and some require months of lead time to qualify.

We’re here to help you make the most of these opportunities before they’re gone.

Warm regards,

Alisa Na, CPA


Navigating Multi-State Tax Obligations for Your Business

For many businesses headquartered in a single state, such as Washington, California, or New York, operations often extend far beyond their home base. Whether serving clients in other states, employing a remote workforce, or selling products nationwide, these interstate activities can trigger significant tax responsibilities in those other states. Overlooking these obligations can lead to costly penalties, back taxes, and interest.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nexus” is the first step to ensuring compliance.

What is Nexus?

“Nexus” is a legal term that describes the connection a business has with a state that is significant enough to require the business to comply with that state’s tax laws. Historically, nexus was primarily established by a physical presence, such as an office, warehouse, or employee in a state. However, the modern business landscape, driven by e-commerce and remote work, has led to a much broader definition.

Today, nexus is not just about physical location. It can also be created through economic activity, a concept solidified by the 2018 Supreme Court decision in South Dakota v. Wayfair, Inc. This ruling affirmed that states can require businesses to collect and remit sales tax even if they have no physical presence in the state, provided they meet certain economic thresholds.

When Do Tax Obligations Arise in Other States?

A variety of business activities can establish nexus in a state where your company is not headquartered. The likelihood and nature of the tax obligation can vary based on the specific activity.

Activity Nexus Likelihood Explanation
Hiring a Remote Employee High Employing a worker who resides in another state typically creates nexus for payroll tax purposes and may also trigger income and sales tax obligations.
Selling Products to Consumers High Exceeding a state’s economic threshold for revenue or number of transactions will create sales tax nexus. For example, many states have a threshold of $100,000 in sales or 200 transactions.
Providing On-Site Services or Consulting Medium to High Regularly sending employees or contractors into a state for services, installations, or consulting can establish a physical presence and create nexus.
Selling Digital Products Online High Like physical goods, selling digital products or software-as-a-service (SaaS) can create economic nexus for both sales and income tax purposes.
Providing Telehealth Services to Patients Medium to High Offering medical services to patients in other states is considered revenue-generating activity and can be subject to that state’s income tax laws.

What Types of Taxes are Involved?

Once nexus is established, your business may be responsible for several types of state taxes:

State Income Tax: If your business generates revenue from customers in another state, you may be required to file a state income tax return and pay taxes on the portion of your income earned there. For instance, a Washington-based marketing firm that provides consulting services to a client in California may need to file a California income tax return if it meets the state’s nexus criteria.

Sales Tax: If you sell goods or taxable services to customers in another state where you have nexus, you are generally required to register for a sales tax permit, and then collect and remit sales tax on those transactions. For example, a business selling over $500,000 of products annually to Texas consumers online would be required to register and collect Texas sales tax.

Payroll Tax: When you hire an employee who lives and works in a different state, you must comply with that state’s payroll tax laws. This includes registering as an employer in that state, withholding state income tax from the employee’s wages, and paying state unemployment taxes. A Seattle company hiring a remote developer in Oregon, for example, must register with Oregon and manage withholdings accordingly.

A Practical Case Study

Consider an IT company headquartered in Washington. The company has a remote employee living in Arizona and provides software services to clients in both Arizona and Texas. Although the company has no physical office outside of Washington, it has unknowingly created tax obligations in multiple states:

Arizona: The presence of a remote employee establishes nexus. The company is now required to file for and pay Arizona payroll taxes. Furthermore, revenue generated from Arizona-based clients may be subject to the state’s income tax, requiring the company to apportion its income.

Texas: By selling a significant volume of software services to Texas clients, the company has likely exceeded the state’s economic nexus threshold for sales tax. It must now register to collect and remit Texas sales tax.

This example illustrates how business activities, not just physical locations, are the determining factor for multi-state tax obligations.

How to Prepare and Stay Compliant

Navigating multi-state taxes requires a proactive approach:

  1. Analyze Your Footprint: Regularly review your business activities, including the location of your customers, employees, and contractors, to identify potential nexus risks.
  2. Track Revenue by State: Configure your accounting system to track sales on a state-by-state basis. This will help you monitor whether you are approaching economic nexus thresholds.
  3. Conduct Due Diligence: Before hiring a remote employee or expanding into a new market, research the tax regulations of the relevant states to understand your potential obligations.
  4. Leverage Automation: Utilize tax compliance software to automate the calculation, collection, and remittance of sales tax and to help manage payroll tax requirements across different states.

In an increasingly borderless economy, a business’s tax responsibilities are no longer confined to its headquarters’ location. Proactive management and a clear understanding of nexus are essential for sustainable growth and avoiding the financial and legal burdens of non-compliance. As your business expands, so too must your diligence in managing its tax obligations.


Tax Provisions in the One Big Beautiful Bill Act (OBBBA)

Important Updates

Dear Clients,

On July 4th, President Donald Trump signed the One Big Beautiful Bill Act (OBBBA) into law, introducing sweeping changes to the federal tax landscape.

The bill passed narrowly, 218–214 in the House and 51–50 in the Senate, with Vice President JD Vance casting the tie-breaking vote. It extends many provisions from the Tax Cuts and Jobs Act (TCJA), P.L. 115-97, and advances key tax priorities of the Trump administration.

Key highlights include:

  • New deductions that aim to eliminate income taxes on certain tips and overtime pay
  • Permanent extension of 2017 TCJA individual tax rates
  • Modifications to corporate taxation on foreign income
  • Termination of numerous clean energy tax credits

For Families & Individuals

  • Standard Deduction: Higher standard deduction made permanent ($15,750 single; $31,500 married).
  • SALT Deduction: Cap raised to $40,000 (2025–2029), drops back to $10,000 in 2030. – Basic Phase-out (begins in 2025):
    1. Begins at MAGI over $500,000-MFJ and single ($250k MFS), indexed for inflation.
    – Phase out-rate is 30% (so MFJ fully phased out at $600k
    – Threshold increase beginning in 2026 to $505,000 (and 1% thereafter through 2029)
    Can’t reduce SALT below $10,000
  • Child Tax Credit: Increases to $2,200 per child (inflation-adjusted); $1,400 refundable credit made permanent. Both child and at least one parent must have an SSN.
  • Senior Deduction: Temporary $6,000 deduction (2025–2028) for age 65+. (Phases out starting at $75k for single and $150k for MFJ)
  • Adoption Credit: Up to $5,000 refundable Trump Accounts: $1,000 government-funded baby investment accounts (2025–2029), parents can add up to $5,000/year.
  • Tax Rates: 2017 tax cuts made permanent, inflation adjustments extended.
  • Educator’s Expense (2026): Educator expenses may be claimed in 2026 as itemized deductions. $300 above the line continues to be available.
  • Dependent Care Credit: Raised from 35% → 50%, phases out at higher incomes.
  • 529 Plans: Can now pay for K-12 expenses & postsecondary credentials tax-free.
  • Charity Deductions: Non-itemizers can deduct up to $1,000 single / $2,000 married.
  • No Tax on Tips: Deduct up to $25,000 tips income (2025–2028). Phase-out based on MAGI $150,000 (single) $300,000 (MFJ) Deduction is limited to $25,000(whether single or joint return) – Self –employed taxpayers may qualify.
  • No Tax on Overtime: Deduct up to $12,500 (single) / $25,000 (joint) of OT pay (2025–2028). MAGI phase out begins at $150,000 single, $300,000 MFJ. Only the overtime portion is deductible. Must provide SSN on return and if married filed a joint return.
  • Car Loan Interest: Deduct up to $10,000/year for U.S.-made car loans (2025–2028). Phase-out begins at MAGI: $200,000- (complete phase-out at $250,000 if you have $10,000 deduction). Single taxpayers-$100,000 (complete phase-out at $150,000 if you have $10,000 deduction).

For Businesses & Investments

  • QBI Deduction: 20% deduction made permanent; phase-in thresholds raised.
  • Estate & Gift Tax: Exemption doubled to $15M single / $30M married (inflation-adjusted).
  • Bonus Depreciation: 100% write-off made permanent for new property (from Jan 19, 2025).
  • Sec. 179 Expensing: Limit increased to $2.5M (phase-out starts at $4M).
  • R&D Expenses: Domestic R&D can be deducted immediately; foreign R&D still amortized.
  • Employer Child Care Credit: Increased from 25% → 40%, cap raised to $500K–$600K.
  • Spaceports: Now treated like airports for tax-exempt bonds.
  • Production Property: 100% bonus depreciation for manufacturing property.
  • Advanced Manufacturing Credit: Raised from 25% → 35%.

Clean Energy & Environmental

  • Ends many clean energy credits (e.g., EV credits, solar, hydrogen) by 2025–2028.
  • Clean vehicle credits are to sunset on September 30,2025
  • Residential Energy Credit Sunset: December 31, 2025 – Energy efficient windows, heat pumps, et, Solar Panel Credit
  • Extends clean fuel production credit (Sec. 45Z) through 2029.
  • Adds restrictions on foreign entities claiming certain energy credits.

International & Other Business Taxes

  • FDII & GILTI: Renamed and taxed at 14%.
  • BEAT Tax: Rate increased slightly (10% → 10.5%).
  • Foreign Tax Credit: Adjustments to allocation rules.
  • Business Interest Limitation: New calculation order rules.

Administrative, Excise & Miscellaneous

  • 1099-K Threshold: Back to $20,000 & 200 transactions (was set to drop to $600).
  • 1099 Reporting: Raised from $600 → $2,000, indexed to inflation after 2026.
  • Firearms Tax: Transfer tax reduced.
  • Farmland Sales: Allows tax to be paid in 4 annual installments.
  • Remittance Transfers: New 1% tax on certain cash transfers abroad.

Should you have any questions, please feel free to reach out to us. Our team is available to assist and support you.

Sincerely,
Alisa Na CPAs & Advisors


One Big Beautiful Bill Act(OBBBA)의 세법 개정 주요 내용

중요 안내

안녕하세요.

2025년 7월 4일, 트럼프 대통령이 “One Big Beautiful Bill Act (OBBBA)”에 서명하면서 해당 법안이 공식적으로 제정되었습니다. 하원에서는 218대 214로, 상원에서는 51대 50으로 통과되었으며, 밴스 부통령이 casting the tie-breaking vote 를 행사했습니다.

이번 법안은 2017년 제정된 감세 및 고용법(TCJA)의 주요 조항들을 연장 또는 영구화함과 동시에, 트럼프 행정부가 우선순위로 두었던 여러 세금 관련 정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특정 팁 및 초과근무 수당에 대한 소득세 면제를 위한 공제가 신설되었으며, 해외소득 과세 구조와 청정에너지 관련 세액공제 항목에도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다음은 주요 세법 변경사항을 항목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개인 납세자 관련 주요 변경사항:

  • 세율: 2017년 감세법(TCJA)에서 도입된 현행 소득세율 구조가 앞으로도 계속 유지됩니다. 또한 세율 구간을 조정할 때, 12% 구간의 끝점과 22% 구간의 시작점을 정하는 기준에 인플레이션을 1년 더 반영하는 방식으로 변경됩니다.
  • 표준공제: TCJA에서 인상되었던 표준공제 금액이 영구화됩니다. 2025년부터는 Single $15,750, Head of Household $23,625, Married Filing Joint $31,500로 상향되며, 이후 물가 상승률에 따라 조정됩니다. 이 변경은 소급 적용되어 2025년에도 적용됩니다.
  • SALT 공제 한도: 납세자가 납부한 주 및 지방세(State and Local Taxes, SALT)에 대해 공제받을 수 있는 한도가 기존 $10,000에서 $40,000으로 한시적으로 인상됩니다. 이 인상된 한도는 2026년에 $40,400부터 적용되며, 이후 2029년까지 매년 1%씩 증가합니다. 하지만 2030년부터는 다시 $10,000 한도로 되돌아갑니다. 한편, Modified Adjusted Gross Income (MAGI)이 $50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제 한도가 단계적으로 축소되지만, $10,000 이하로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 개인 면제 및 고령자 공제: 개인 면제는 계속 0으로 유지되며, 만 65세 이상 납세자의 경우 2025~2028년 한시적으로 $6,000의 추가 공제가 허용됩니다. 해당 공제는 MAGI 가 $75,000 (부부 공동 신고 시 $150,000)을 초과할 경우 단계적으로 축소됩니다.
  • 자녀 세액공제: 비환급 자녀 세액공제가 2025년부터 $2,200로 인상되며, 인플레이에 따라 조정됩니다. 기존의 $1,400 환급 가능한 세액공제는 영구화되며, 소득 제한도 상향 조정됩니다(단독 납세자 $200,000 / 부부 공동 신고 $400,000). 또한, 자녀가 아닌 부양가족 1인당 $500의 비환급 세액공제도 영구화됩니다.
  • QBI 공제: Section 199A에 따른 Qualified Business Income(QBI) 공제가 영구화되며, 현재의 20% 공제율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또한, 공제 한도가 점차 줄어들기 시작하는 소득 기준 구간이 상향 조정되어, 단독 신고자의 경우 기존 $50,000에서 $75,000로, 부부 공동 신고자는 $100,000에서 $150,000로 확대됩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납세자가 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납세자가 하나 이상의 사업체에 실제로 참여하고, 해당 사업체에서 $1,000 이상의 순소득(QBI)있는 경우, 최소 $400의 QBI 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새로운 규정이 추가되었습니다. 이 최소 공제 금액은 매년 물가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 상속세 및 증여세 공제: Section 2010에 따라, 2026년부터 개인 $15 million, 부부 공동 $30 million으로 공제 한도가 영구적으로 인상되며, 이후에는 인플레이션에 따라 매년 조정됩니다.
  • Alternative Minimum Tax Exemption (AMT): 기존에 한시적으로 인상되었던 AMT 면제 금액이 이번 법안으로 인해 영구적으로 유지됩니다. 또한, 일정 수준 이상의 소득자에게는 이 면제 혜택이 점차 줄어드는데, 이전에는 초과 소득의 25%만큼 줄어들던 것이 앞으로는 50%까지 줄어들게 됩니다. 이때 기준이 되는 소득은 2018년 수준(단독 신고 시 $500,000, 부부 공동 신고 시 $1,000,000)을 기준으로 하며, 해마다 인플레이션에 맞춰 조정됩니다.
  • 모기지 이자공제: Section 163에 따라 주택 구입 목적의 모기지 원금 중 최대 $750,000까지의 이자 공제가 영구화됩니다. 또한, Home Equity Loan 이자는 공제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규정도 영구화되었으며, 주택 취득을 위한 대출에 포함된 일부 모기지 보험료는 공제 가능한 주택 모기지 이자에 포함됩니다.
  • 재난 손실 공제: 연방정부가 선포한 재난으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만 항목별 공제를 허용하던 TCJA 규정이 이번 법안으로 영구화되었으며, 그 적용 범위가 일부 주정부가 선포한 재난으로 인한 손실까지 확대됩니다.
  • 기타 항목별 공제: Section 67(g)에 따라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던 기타 항목별 공제에 대한 규정이 이번 법안으로 영구화되며, 이와 함께 적격 교사들의 미보상 근로비용은 더 이상 기타 항목별 공제에 포함되지 않도록 조정됩니다.
  • 자전거 출퇴근비 공제: 기존에 비과세 복리후생 항목으로 분류되었던 자전거 출퇴근비 지급액은 이번 법안으로 인해 과세 대상으로 전환되며, 더 이상 비과세 교통복지 수당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 이사비용 공제: Section 217에 따른 이사비용 공제가 군인과 특정 정보기관 종사자를 제외하고는 영구 폐지됩니다.
  • 도박 관련 손실 공제: Section 165(d) 개정으로 도박 손실에 포함되는 항목이 보다 명확해졌습니다. 이번 개정안에 따라, 단순한 도박 손실뿐 아니라 도박 활동과 직접 관련된 비용도 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다만, 전체 도박 손실 중 최대 90%까지만 공제가 가능하며, 해당 손실액은 그 해 도박으로 실제 얻은 수익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 학자금 대출 면제: 납세자가 사망하거나 장애가 생겨 학자금 대출이 탕감되는 경우, 그 금액을 소득으로 보지 않아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규정이 앞으로는 영구적으로 유지됩니다. 또한, 대출이 탕감된 해에는 해당 납세자의 사회보장번호(SSN)를 소득세 신고서에 반드시 기재해야 하는 규정이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 팁 소득 공제: 팁을 정기적으로 받는 직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한시적으로 적격 팁 소득에 대해 연간 최대 $25,000까지 소득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 공제는 W-2를 받는 직원은 물론, 1099-K, 1099-NEC 또는 Form 4317을 통해 팁 소득을 신고하는 독립 계약자에게도 적용됩니다. 또한, 이 공제는 소득에서 바로 차감되는 방식(above-the-line)으로 적용되므로, 표준공제나 항목별 공제 중 무엇을 선택하든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MAGI가 $150,000(공동 신고 시 $300,000)을 초과할 경우, 공제 금액은 점차 줄어듭니다.
  • 초과근무 수당 공제: 2025년부터 2028년까지, 근로기준법(Fair Labor Standards Act) 제7조에 따라 지급된 초과근무 수당(overtime pay) 중 정규 시급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 개인 기준 최대 $12,500, 부부 공동 신고 기준 최대 $25,000까지 소득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 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해당 수당이 W-2 또는 1099 양식에 따로 표시되어야 하며, MAGI가 $150,000(공동 신고 시 $300,000)을 넘을 경우 공제액이 점차 줄어듭니다.
  • 차량 대출 이자 공제: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승용차 대출 이자에 대해 연간 최대 $10,000까지 소득에서 공제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공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우선, 해당 차량은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되어야 하며, 2024년 12월 31일 이후에 구입한 차량이어야 합니다. 또한 해당 차량은 미국 내에서 최종 조립된 차량이어야 하며, 차량 구매 대출은 해당 차량에 대해 ‘1순위 저당권(first lien)’이 설정된 대출이어야 합니다. 납세자의 MAGI가 $100,000(부부 공동 신고 시 $200,000)을 초과할 경우, 공제 가능한 금액은 단계적으로 축소됩니다.
  • 입양 공제: 섹션 23에 따른 입양 공제 중 최대 $5,000까지 환급 가능한 금액으로 전환되며, 향후 물가에 따라 조정됩니다.
  • 보육비 지원 프로그램: 섹션 129에 따른 근로자 보육비 지원 비과세 한도가 기존 $5,000에서 $7,500로 인상됩니다.
  • 자녀 및 부양가족 세액공제: 자녀나 부양가족을 위한 보육비에 대해 받을 수 있는 세액공제율이 기존 최대 35%에서 50%로 인상됩니다. 단, AGI가 $75,000 (부부 공동 신고 시 $150,000)을 초과하면 최소 20%까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529 플랜: 세금 혜택이 있는 교육 저축계좌인 529 플랜의 사용 가능 범위가 확대되어, 기존의 대학 등록금 외에도 초·중등학교 교육비와 직업 관련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비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기부금 공제: 기존에는 항목별 공제를 선택한 경우에만 기부금 공제가 가능했지만, 이제는 항목별 (Itemized) 공제를 하지 않는 납세자도 일정 금액의 기부금에 대해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Single일 경우 최대 $1,000, 부부 공동 신고자는 최대 $2,000까지 공제가 가능합니다. 한편, 항목별 공제를 선택한 납세자는 기부금 총액에서 과세소득의 0.5%를 차감한 금액까지만 공제할 수 있고, 법인은 1%를 차감한 금액까지 공제가 인정되며, 기존의 10% 공제 한도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사업체 및 기업 관련 주요 변경사항:

  • 보너스 감가상각(Bonus depreciation): 일정 자산에 대해 첫 해에 전액 감가상각이 가능한 보너스 감가상각 제도가 영구화됩니다. 2025년 1월 19일 이후 취득 및 사용된 자산이나 해당 일자 이후 심은 특정 식물에 대해 100% 감가상각이 허용됩니다.
  • Section 179 즉시 비용처리: 사업용 자산을 구매한 경우, 일정 금액까지 즉시 비용처리할 수 있는 상한선이 $2.5 million으로 인상되며, 총 자산 취득 금액이 $4 million을 넘을 경우 공제 가능 금액이 줄어듭니다.
  • 연구 및 실험비(R&D 비용): 2024년 12월 31일 이후에 발생한 미국 내 연구개발(R&D) 비용은 바로 비용처리할 수 있도록 변경됩니다. 하지만 해외에서 발생한 연구비용은 기존처럼 15년에 걸쳐 나눠서 상각해야 합니다. 또한, 연평균 매출이 $3,100만 이하인 소기업의 경우, 이 변경사항을 2021년까지 소급 적용할 수 있으며, 2021년부터 2024년 사이에 발생한 국내 연구비용은 12년에 걸쳐 더 빠르게 상각할 수 있도록 허용됩니다.
  • 제조업 자산 감가상각 혜택: 제조업에 사용하는 비주거용 건물이나 설비(qualified production property)의 경우, 취득 첫 해에 자산의 취득가액 전액을 한꺼번에 비용처리(감가상각)할 수 있도록 허용됩니다. 즉, 자산을 여러 해에 걸쳐 나눠서 상각하는 대신, 구입한 해에 전부 비용으로 처리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 것입니다.
  • 첨단 제조업 투자세액공제: 고급 제조 시설에 투자한 기업은 2026년부터 최대 35%까지 투자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우주항공시설(spaceports): 우주항공 시설이 공항과 동일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면세채 발행이 가능해집니다. 해당 시설에는 우주선 제작, 수리, 비행 통제 및 화물 운송 시설 등이 포함됩니다.
  • 고용주 제공 보육시설 세액공제(Section 45F): 직원 보육시설을 운영하거나 관련 비용을 지원하는 고용주는 최대 40%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세액공제 한도는 기존 $150,000에서 일반 기업은 $500,000, 소기업은 $600,000까지 인상됩니다. 이 한도는 매년 물가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청정에너지 관련 세금 혜택 종료 예정 안내:

아래의 청정에너지 관련 세액공제들은 각 항목별로 정해진 날짜 이후부터 더 이상 적용되지 않거나 제한이 생깁니다:

  • 중고 전기차 세액공제 (Section 25E): 2025년 9월 30일까지
  • 신규 전기차 세액공제 (Section 30D): 2025년 9월 30일까지
  • 상업용 전기차 세액공제 (Section 45W): 2025년 9월 30일까지
  • 전기차 충전소 설치 비용 공제 (Section 30C): 2026년 6월 30일까지
  • 에너지 효율 주택 리모델링 공제 (Section 25C): 2025년 12월 31일까지
  • 주택용 태양광·지열 등 청정에너지 공제 (Section 25D): 2025년 12월 31일까지
  • 상업용 건물 에너지 절감 설비 (Section 179D): 2026년 6월 30일 시작되는 공사부터는 공제 종료
  • 고효율 신축 주택 공제 (Section 45L): 2026년 6월 30일까지
  • 수소연료 생산 공제 (Section 45V): 2027년 12월 31일까지 생산분까지
  • 지속가능 항공유 공제 (Section 6426(k)): 2025년 9월 30일까지
  • 청정에너지 자산 감가상각 혜택 (Section 168(e)(3)(B)(vi)): 2025년 12월 31일 이후 취득한 자산부터 적용 종료
  • 풍력·태양광 설비 세액공제 (Sections 45Y & 48E): 2027년 이후 설치된 설비는 공제 불가. 또한, 외국계 기업이나 외국 원료 사용 시 공제 제한
  • 청정연료 생산 세액공제 (Section 45Z): 공제는 2029년까지 연장되지만, 외국산 원료 사용 시 제한이 따릅니다.

기타 행정 및 국제 조세 변경사항:

  • Form 1099-K 보고 기준: 연간 거래금액 $20,000 이상이면서 거래 건수가 200건을 넘는 경우에만 보고 의무가 적용됩니다. 기존에 예정되었던 $600 기준은 철회됩니다.
  • Form 1099 보고 기준: 사업자나 프리랜서에게 지급한 금액 보고 기준이 기존 $600에서 $2,000으로 상향되며, 2027년 이후에는 인플레이션에 따라 조정됩니다.
  • 송금세(remittance transfer tax): 개인이 해외로 돈을 송금할 경우, 1%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단, 은행 계좌 인출이나 카드 결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농지 양도 시 분할 납부: 농지를 매각할 경우, 발생하는 세금을 최대 4년간 나누어 낼 수 있도록 선택이 가능합니다.
  • 해외 송금세(Remittance Transfer Tax): 현금, 머니오더, 수표 등 실물 형태의 자금을 해외로 송금할 경우, 송금인에게 1%의 송금세가 부과됩니다. 단, 금융기관에 보유한 계좌에서 인출하거나,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를 통해 결제된 자금은 이 세금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전자자금이체법(Electronic Fund Transfer Act) 제919(g)조에 따르면, 이 세금은 송금인이 특정 수취인을 지정하여 전자적으로 자금을 이체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송금 서비스 제공자(remittance transfer provider)가 처리하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송금 서비스 제공자에는 소비자가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지와 무관하게, 일상적으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또는 금융기관이 모두 포함됩니다. 상원 재무위원회에서 논의된 초안에서는 송금세를 3.5%로 부과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최종 법안에서는 1%로 확정되었습니다.

국제 과세 제도 변경사항:

  • 외국세액공제 한도 및 관련 조정사항: 미국의 해외 자회사 소득(GILTI)에 대한 외국세액공제를 계산할 때 어떤 비용을 해당 소득과 연결시킬지에 대한 규정이 이번에 바뀌었습니다. 기존에는 공제 가능한 외국세액이 줄어들 수 있는 방식이었지만, 이번 개정으로는 GILTI 대신 새롭게 정의된 ‘해외 자회사 순이익(Net CFC Tested Income)’ 개념을 적용해, 관련 비용을 이 소득에 맞춰 정리하도록 규정이 수정되었습니다. 또한 미국 내에서 만든 제품을 해외에 팔았을 때, 해당 수익이 어떤 국가에서 발생한 소득으로 간주되는지(소득 귀속) 기준도 조정되어, 보다 명확한 세금 계산이 가능해졌습니다.
  • 납부한 것으로 간주되는 외국세액(Deemed Paid Credit): 해외 자회사로부터 미국 주주가 세금을 내야 하는 경우(Subpart F 소득), 실제 납부하지 않았더라도 미국 세법상 일정 비율의 외국세액을 낸 것으로 간주해 공제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이번 법안에서는 이 공제 비율이 기존 80%에서 90%로 인상되어, 납세자가 더 많은 외국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GILTI 및 FDII 관련 변경사항: 2025년 12월 31일 이후 시작되는 과세연도부터, 해외 무형소득(FDII)과 저세율 해외소득(GILTI)에 적용되는 공제율이 각각 33.34%와 40%로 낮아집니다. 이로 인해 두 소득 모두에 대해 실질 세율이 14%로 통일됩니다. 또한, FDII 공제를 계산할 때 어떤 소득을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지 정의가 변경되었고, 기존에 사용되던 “가상의 유형소득 수익률(deemed tangible income return)” 개념은 FDII와 GILTI 계산에서 모두 제거됩니다. 이로 인해 앞으로는 FDII와 GILTI라는 명칭도 사라지고, 대신 FDII는 “외국 관련 공제 대상 소득”, GILTI는 해외 자회사 순이익(Net CFC Tested Income)”이라는 새로운 용어로 대체됩니다.
  • BEAT(기반 침식 방지세) 조정: BEAT(Base Erosion and Anti-Abuse Tax) 세율이 기존 10%에서 10.5%로 소폭 인상됩니다. 상원 초안에서는 14%로 인상하는 내용도 있었으나, 최종안에서는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그 외 상원안에 포함됐던 기타 BEAT 관련 조항들도 최종 법안에서는 삭제되었습니다.
  • 사업체 이자공제 계산 방식 변경: 사업체가 부담하는 이자에 대한 공제 한도(Section 163(j))를 계산할 때, 이자 비용 자산화 규정을 적용하기 전에 공제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순서가 명확히 정해졌습니다.
  • 불공정 외국세에 대한 제재 조항 삭제: 상원 초안에 포함되어 있었던, 특정 국가가 부과하는 불공정한 외국세에 대해 최대 15%의 제재성 세율을 적용하는 조항은 최종 법안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문의사항이나 구체적인 적용 여부 확인이 필요하신 경우, 저희 사무실로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


Understanding Multistate Tax Filing: What Business Owners Need to Know

If your business operates across state lines—whether through remote employees, online sales, or physical presence—you’re likely subject to multistate tax filing requirements. As states become more aggressive in enforcing their tax laws, it’s crucial for business owners to understand their obligations to avoid penalties and interest.

What Triggers Tax Filing in Another State?

Each state has its own rules for determining whether your business has nexus, the legal term for a sufficient connection to require tax registration. Nexus can be established by:

  • Having a physical office or store in the state
  • Employing workers or contractors in the state
  • Owning or leasing property (including inventory in a warehouse)
  • Reaching a certain level of sales or transactions (economic nexus)

With the rise of e-commerce and remote work, many businesses unknowingly create nexus in multiple states.

Common Taxes That May Require Multistate Filing

Once nexus is established, your business may be required to register, collect, or file for several types of taxes:

1. State Income Tax

If your company earns income from business activities in a state, you may need to apportion income and file a return in that state—even if you’re based elsewhere. The rules vary depending on whether you’re a pass-through entity, C corporation, or sole proprietor.

2. Sales and Use Tax

After the landmark South Dakota v. Wayfair, Inc. decision, states can require out-of-state sellers to collect sales tax based on sales volume alone. If you sell tangible goods or taxable services online, you may have sales tax nexus in multiple states—even if you have no physical presence there.

3. Payroll Taxes

If you employ remote workers or contractors in another state, you’ll need to comply with local withholding, unemployment insurance, and other employer tax requirements for that jurisdiction.

4. Franchise and Gross Receipts Taxes

Some states impose taxes based on revenue or the mere right to do business in the state, regardless of profit. These include Washington’s Business & Occupation (B&O) Tax, Texas’s Franchise Tax, and Ohio’s Commercial Activity Tax.

How to Stay Compliant

Navigating multistate tax rules can be overwhelming, but a proactive approach can protect your business and support growth:

  • Evaluate where your business has nexus—both physical and economic
  • Register appropriately with each state’s tax authority
  • Track sales thresholds for each state where you operate
  • Maintain accurate records of income, payroll, and business activities by location
  • Work with a tax professional to file the correct forms and apportion income properly

Let’s Simplify Multistate Compliance Together

At Alisa Na CPA, we help businesses of all sizes understand and meet their multistate tax obligations. Whether you’re expanding into a new market or unsure about your current filings, we’ll guide you through the process with clarity and peace of mind.


Precision Matters: Why Your Finances Deserve the Same Attention as Your Patients

For physicians, nurses, therapists, and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each day demands sharp focus, accountability, and unwavering commitment. Caring for patients is more than a job—it’s a calling that involves constant judgment and responsibility.

Yet, while many in healthcare dedicate their lives to others’ well-being, their own financial health often takes a back seat. Too often, I’ve seen busy professionals delay planning or assume financial matters will sort themselves out later. Unfortunately, inaction can be costly.

Over the years, I’ve had the privilege of advising healthcare professionals across a variety of settings. One thing is clear: your financial decisions extend well beyond the exam room—and the sooner they’re addressed with the same precision as your clinical work, the better your outcomes will be.

Medicine Is Science. Finance Is Strategy.

The income structure of medical professionals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at of the average salaried employee. Even hospital-based providers with fixed salaries may receive additional income from lectures, consulting, research participation, or stipends for academic involvement. Private practice owners face even more complexity—with revenue tied to clinical income, real estate holdings, equipment leases, partner agreements, and more.

What complicates matters further is how this income is taxed. It’s common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to be automatically categorized as high-income earners and taxed accordingly, without consideration for the nuance of their financial structure.

Here’s what matters: Income should not be viewed simply in dollar terms—it must be evaluated in terms of structure.

For example, the way you structure your practice—whether as a sole proprietorship, S-Corporation, or PLLC—can significantly impact your tax liability and long-term wealth. Two physicians with identical incomes may face very different outcomes depending on how their finances are organized.

The difference isn’t just what you know. It’s how—and when—you apply that knowledge.

Common Financial Mistakes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Despite high earning potential, many healthcare professionals face avoidable financial pitfalls. The three I see most often:

1. Lack of Expense Awareness

Busy schedules leave little time to track spending or review budgets. As a result, income may be high, but end-of-year cash flow is unclear, and financial decisions are made reactively.

2. No Asset Protection Planning

Professionals working in medicine face inherent legal risk. Yet many retain all assets in their personal name—without the protection of a trust, family LLC, or tailored asset-diversification plan.

3. Delayed Retirement Planning

It’s common to hear: “I’ll catch up later.” But with access to advanced retirement vehicles like Defined Benefit Plans and Cash Balance Plans, healthcare professionals have powerful options—if started early. Waiting often means missed tax advantages and diminished compounding potential.

A CPA’s Role: Beyond Tax Filing

Many view CPAs as simply tax preparers. But in my practice, I approach accounting as much more:
a strategic partner helping professionals design the financial architecture of their lives.

Whether you’re preparing to launch a clinic, reviewing a lease agreement, evaluating partner contracts, or planning for retirement, the decisions you make today can have lasting implications. My goal is to guide you through those decisions with clarity, insight, and long-term vision.

As a healthcare professional, you are trained to approach every diagnosis with precision, thoroughness, and care. I believe your finances deserve the same.

Let’s design a structure that reflects not just your current needs—but your future goals, your family, and your legacy.


2025년 2분기 워싱턴주 판매세율 변경

Notification from Washington Department of Revenue: 2025년 2분기 워싱턴주 판매세율 변경이 있습니다. 2025년 2분기 업데이트는 아래의 Sales Tax Rate Tools 를 통해 자세히 보실수 있습니다.

Local sales tax rate changes in the following areas beginning January 1st, 2025:
로컬 세일즈 판매 및 사용세 변경 공지

Motor vehicle tax rates

Motor vehicle rate change notices

로컬 위치코드 및 세율의 전체 목록은 아래의 웹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Local sales & use tax | Washington Department of Revenue

2025 Minimum Wage Resources

  • Washington State (LINK): 워싱턴주 노동산업부(L&I)는 2025년 1월 1일부터 워싱턴주의 최저 임금을 시간당 $16.66로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Seattle (LINK): 2025년 1월 1일부터 모든 고용주는 사업 규모에 관계없이 시간당 $20.76의 동일한 최저 임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소규모 고용주는 더 이상 시애틀의 최저 임금 조례에 따른 직원의 최소 보상 요건에 대해 직원의 의료 혜택 플랜에 대한 팁 및/또는 지불금을 계산할 수 없습니다.
  • Bellingham (LINK): 2025년 1월 1일부터 벨링햄시 최저 임금은 워싱턴 주 최저 임금보다 $1.00 높은 $17.66 입니다. 2025년 5월 1일부터 시 최저 임금은 해당 워싱턴 주 최저 임금보다 $2.00 높습니다.
    이후 매년 2026년부터 시 최저 임금은 매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워싱턴 주 최저 임금보다 $2.00 높은 금액으로 설정됩니다. 시는 새로운 주 최저 임금이 발표된 후 2주 이내에 시 최저 임금을 확정할 것입니다.
  • Burien (LINK): 20명 이하의 정규직 근로자(FTE)를 보유한 고용주는 이 조례에서 면제됩니다.

    • “레벨 1 고용주”는 킹 카운티에서 500명 이상의 FTE를 고용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포함한 모든 고용주 또는 총 500명 이상의 FTE를 고용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의미합니다. 2025년 1월 1일 오전 12시 1분부터 레벨 1 고용주는 각 직원에게 워싱턴 주 시간당 최저 임금보다 최소 $4.50의 높은 시간당 최저 임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 “레벨 2 고용주”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포함하여 킹 카운티에서 21 – 499명의 FTE를 고용하는 모든 고용주를 의미합니다. 2025년 7월 1일 오전 12시 1분부터 레벨 2 고용주는 각 직원에게 워싱턴 주 시간당 최저 임금보다 최소 $3.50 높은 시간당 최저 임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 “레벨 3 고용주”는 FTE가 20명 이하인 모든 고용주를 의미합니다. FTE가 20명 이하인 고용주는 이 조례에서 면제됩니다.
  • Everett (LINK): 2025년 7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워싱턴에 500명 이상의 직원이 있는 고용주의 경우 $20.24/시간, 15명과 500명 사이의 직원을 가진 고용주의 경우 $18.24/시간입니다. 직원이 14명 이하인 고용주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King County (unincorporated) (LINK): 2025년 1월 1일부터 킹 카운티의 unincorporated 지역의 최저 시급은 $20.29입니다.

    사업 규모와 총 수익에 따라 세 가지 일시적인 예외가 있습니다. 귀하의 사업장이 이 관할권에 속하는지 여부는 ArcGIS Web Application웹 응용프로그램에 사업장 주소를 입력하여 확인하십시오.
  • Renton (LINK): 적용 대상 고용주는 시에서 근무한 시간에 대해 직원에게 다음과 같은 최저 시급 이상을 지급해야 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대기업 또는 중견 규모 고용주에 속하지 않는 고용주는 새로운 최저 임금 요율의 적용을 받지 않지만 워싱턴 주 최저 임금 요건을 계속 충족해야 합니다.
  • SeaTac (LINK): 2025년 최저 임금: 시간당 $20.17. 생활임금 상승률(2.35%)은 미국 노동부가 계산한 9월 1일 이전 12개월 동안의 도시 임금 근로자 및 사무직 근로자 소비자 물가지수(CPIW)를 사용하여 계산되었습니다. 따라서 SeaTac Municipal Code(SMC) 섹션 7.45.050에 따라 시 내 접객 및 운송 직원에게 적용되는 생활 임금은 2025년 1월 1일부터 $20.17로 인상됩니다.
  • Tukwila (LINK): 2025년 1월 1일부터 Tukwila 최저 시간당 임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7월 1일부터 중간 규모 고용주는 최저 임금을, 대규모 고용주 최저 시간당 임금 $21.10와 동일하게 인상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후로 중간 규모 고용주의 최저 임금은 대규모 고용주 요율과 동일합니다.

The Quarter 2, 2025, Washington State sales tax rate changes

Quarter 2, 2025 Update — Sales Tax Rate Tools
The Quarter 2, 2025, Washington State sales tax rate changes are now available.

Local sales tax rate changes in the following areas beginning January 1st, 2025:
Local sales & use tax change notices

Motor vehicle tax rates

Motor vehicle rate change notices

A complete list of location codes and tax rates can be found  here on the website.

2025 Minimum Wage Resources

  • Washington State (LINK): The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Labor & Industries (L&I) announced an increase in the state’s minimum wage to $16.66 per hour, effective on January 1, 2025.
  • Seattle (LINK): Starting January 1, 2025, all employers, regardless of schedule size, will be required to pay the same minimum wage of $20.76 per hour. Small employers will no longer be able to count tips and/or payments toward an employee’s medical benefit plan toward an employee’s minimum compensation requirements under Seattle’s Minimum Wage Ordinance.
  • Bellingham (LINK): On January 1, 2025, the city minimum wage will be set at $1.00 above the applicable Washington State minimum wage ($17.66). Starting May 1, 2025, the city minimum wage will be set at $2.00 above the applicable Washington State minimum wage. Every year after, starting in 2026, the city minimum wage will be set at $2.00 above the applicable Washington State minimum wage, effective on January 1 every year. The city will establish the city minimum wage within two weeks of the publication of the new state minimum wage.
  • Burien (LINK): Employers with 20 or fewer full-time equivalents (FTEs) are exempt from the ordinance.

    • “Level 1 employer” means all employers, including franchisees, that employ 500 or more FTEs in King County or franchisors who employ 500 or more FTEs in the aggregate. Effective January 1, 2025 at 12:01 a.m., Level 1 employers shall pay each employee an hourly minimum wage of at least $4.50 over the Washington State hourly minimum wage.
    • “Level 2 employer” means all employers, including franchisees, that employ 21 – 499 FTEs in King County. Effective July 1, 2025 at 12:01 a.m., Level 2 employers shall pay each employee an hourly minimum wage of at least $3.50 over the Washington State hourly minimum wage.
    • “Level 3 employer” means all employers with 20 or fewer FTEs. Employers with 20 or fewer FTEs are exempt from this ordinance.
  • Everett (LINK): Effective July 1, 2025. $20.24/hour for employers with more than 500 employees in Washington and $18.24 for employers with between 15 and 500 employees. Employers with 14 or fewer employees are not to be affected.
  • King County (unincorporated) (LINK): On January 1, 2025, the minimum hourly wage in unincorporated King County will be $20.29.

    There will be three temporary exceptions, based on business size and gross revenue. Please check whether or not your business falls under this jurisdiction by entering your business address here:  ArcGIS Web Application.
  • Renton (LINK): Covered employers will be required to pay a new higher minimum wage for hours worked in the City. Covered employers are required to pay employees not less than the minimum hourly wage as follows:

    Employers that do not fall within the Large or Mid-Size Employer described above are not covered by the new minimum wage rates but must continue to meet the State of Washington minimum wage requirements.
  • SeaTac (LINK): 2025 Minimum Wage: $20.17 per hour The increase in the living wage rate (2.35%) has been calculated using the consumer price index for urban wage earners and clerical workers, (CPIW) for the twelve (12) months prior to September 1 as calcula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SeaTac Municipal Code (SMC) Section 7.45.050, the living wage rate in effect for hospitality and transportation employees within the City will increase to $20.17, effective January 1, 2025.
  • Tukwila (LINK): Effective January 1st, 2025, Tukwila Minimum Wage hourly rates will be:

    (On  July 1st, 2025, mid-size employer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ir minimum wage rate to equal the large employer rate of $21.10) Going forward, mid-size employer minimum wage will be the same as the large employer rate.

2025년 1분기 워싱턴주 판매세율 변경

Notification from Washington Department of Revenue: 2025년 1분기 워싱턴주 판매세율 변경이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업데이트는 아래의 Sales Tax Rate Tools 를 통해 자세히 보실수 있습니다.

Local sales tax rate changes in the following areas beginning January 1st, 2025:
로컬 세일즈 판매 및 사용세 변경 공지

숙박 요금 판매세율 변경 공지

로컬 위치코드 및 세율의 전체 목록은 아래의 웹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Local sales & use tax | Washington Department of Revenue

2025 Minimum Wage Resources

  • Washington State (LINK): 워싱턴주 노동산업부(L&I)는 2025년 1월 1일부터 워싱턴주의 최저 임금을 시간당 $16.66로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Seattle (LINK): 2025년 1월 1일부터 모든 고용주는 사업 규모에 관계없이 시간당 $20.76의 동일한 최저 임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소규모 고용주는 더 이상 시애틀의 최저 임금 조례에 따른 직원의 최소 보상 요건에 대해 직원의 의료 혜택 플랜에 대한 팁 및/또는 지불금을 계산할 수 없습니다.
  • Bellingham (LINK): 2025년 1월 1일부터 벨링햄시 최저 임금은 워싱턴 주 최저 임금보다 $1.00 높은 $17.66 입니다. 2025년 5월 1일부터 시 최저 임금은 해당 워싱턴 주 최저 임금보다 $2.00 높습니다.
    이후 매년 2026년부터 시 최저 임금은 매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워싱턴 주 최저 임금보다 $2.00 높은 금액으로 설정됩니다. 시는 새로운 주 최저 임금이 발표된 후 2주 이내에 시 최저 임금을 확정할 것입니다.
  • Burien (LINK): 20명 이하의 정규직 근로자(FTE)를 보유한 고용주는 이 조례에서 면제됩니다.

    • “레벨 1 고용주”는 킹 카운티에서 500명 이상의 FTE를 고용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포함한 모든 고용주 또는 총 500명 이상의 FTE를 고용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의미합니다. 2025년 1월 1일 오전 12시 1분부터 레벨 1 고용주는 각 직원에게 워싱턴 주 시간당 최저 임금보다 최소 $4.50의 높은 시간당 최저 임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 “레벨 2 고용주”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포함하여 킹 카운티에서 21 – 499명의 FTE를 고용하는 모든 고용주를 의미합니다. 2025년 7월 1일 오전 12시 1분부터 레벨 2 고용주는 각 직원에게 워싱턴 주 시간당 최저 임금보다 최소 $3.50 높은 시간당 최저 임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 “레벨 3 고용주”는 FTE가 20명 이하인 모든 고용주를 의미합니다. FTE가 20명 이하인 고용주는 이 조례에서 면제됩니다.
  • Everett (LINK): 2025년 7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워싱턴에 500명 이상의 직원이 있는 고용주의 경우 $20.24/시간, 15명과 500명 사이의 직원을 가진 고용주의 경우 $18.24/시간입니다. 직원이 14명 이하인 고용주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King County (unincorporated) (LINK): 2025년 1월 1일부터 킹 카운티의 unincorporated 지역의 최저 시급은 $20.29입니다.

    사업 규모와 총 수익에 따라 세 가지 일시적인 예외가 있습니다. 귀하의 사업장이 이 관할권에 속하는지 여부는 ArcGIS Web Application웹 응용프로그램에 사업장 주소를 입력하여 확인하십시오.
  • Renton (LINK): 적용 대상 고용주는 시에서 근무한 시간에 대해 직원에게 다음과 같은 최저 시급 이상을 지급해야 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대기업 또는 중견 규모 고용주에 속하지 않는 고용주는 새로운 최저 임금 요율의 적용을 받지 않지만 워싱턴 주 최저 임금 요건을 계속 충족해야 합니다.
  • SeaTac (LINK): 2025년 최저 임금: 시간당 $20.17. 생활임금 상승률(2.35%)은 미국 노동부가 계산한 9월 1일 이전 12개월 동안의 도시 임금 근로자 및 사무직 근로자 소비자 물가지수(CPIW)를 사용하여 계산되었습니다. 따라서 SeaTac Municipal Code(SMC) 섹션 7.45.050에 따라 시 내 접객 및 운송 직원에게 적용되는 생활 임금은 2025년 1월 1일부터 $20.17로 인상됩니다.
  • Tukwila (LINK): 2025년 1월 1일부터 Tukwila 최저 시간당 임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7월 1일부터 중간 규모 고용주는 최저 임금을, 대규모 고용주 최저 시간당 임금 $21.10와 동일하게 인상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후로 중간 규모 고용주의 최저 임금은 대규모 고용주 요율과 동일합니다.

The Quarter 1, 2025, Washington State sales tax rate changes

Quarter 1, 2025 Update — Sales Tax Rate Tools
The Quarter 1, 2025, Washington State sales tax rate changes are now available.

Local sales tax rate changes in the following areas beginning January 1st, 2025:
Local sales & use tax change notices

Lodging rate change notices

A complete list of location codes and tax rates can be found  here on the website.

2025 Minimum Wage Resources

  • Washington State (LINK): The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Labor & Industries (L&I) announced an increase in the state’s minimum wage to $16.66 per hour, effective on January 1, 2025.
  • Seattle (LINK): Starting January 1, 2025, all employers, regardless of schedule size, will be required to pay the same minimum wage of $20.76 per hour. Small employers will no longer be able to count tips and/or payments toward an employee’s medical benefit plan toward an employee’s minimum compensation requirements under Seattle’s Minimum Wage Ordinance.
  • Bellingham (LINK): On January 1, 2025, the city minimum wage will be set at $1.00 above the applicable Washington State minimum wage ($17.66). Starting May 1, 2025, the city minimum wage will be set at $2.00 above the applicable Washington State minimum wage. Every year after, starting in 2026, the city minimum wage will be set at $2.00 above the applicable Washington State minimum wage, effective on January 1 every year. The city will establish the city minimum wage within two weeks of the publication of the new state minimum wage.
  • Burien (LINK): Employers with 20 or fewer full-time equivalents (FTEs) are exempt from the ordinance.

    • “Level 1 employer” means all employers, including franchisees, that employ 500 or more FTEs in King County or franchisors who employ 500 or more FTEs in the aggregate. Effective January 1, 2025 at 12:01 a.m., Level 1 employers shall pay each employee an hourly minimum wage of at least $4.50 over the Washington State hourly minimum wage.
    • “Level 2 employer” means all employers, including franchisees, that employ 21 – 499 FTEs in King County. Effective July 1, 2025 at 12:01 a.m., Level 2 employers shall pay each employee an hourly minimum wage of at least $3.50 over the Washington State hourly minimum wage.
    • “Level 3 employer” means all employers with 20 or fewer FTEs. Employers with 20 or fewer FTEs are exempt from this ordinance.
  • Everett (LINK): Effective July 1, 2025. $20.24/hour for employers with more than 500 employees in Washington and $18.24 for employers with between 15 and 500 employees. Employers with 14 or fewer employees are not to be affected.
  • King County (unincorporated) (LINK): On January 1, 2025, the minimum hourly wage in unincorporated King County will be $20.29.

    There will be three temporary exceptions, based on business size and gross revenue. Please check whether or not your business falls under this jurisdiction by entering your business address here:  ArcGIS Web Application.
  • Renton (LINK): Covered employers will be required to pay a new higher minimum wage for hours worked in the City. Covered employers are required to pay employees not less than the minimum hourly wage as follows:

    Employers that do not fall within the Large or Mid-Size Employer described above are not covered by the new minimum wage rates but must continue to meet the State of Washington minimum wage requirements.
  • SeaTac (LINK): 2025 Minimum Wage: $20.17 per hour The increase in the living wage rate (2.35%) has been calculated using the consumer price index for urban wage earners and clerical workers, (CPIW) for the twelve (12) months prior to September 1 as calcula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SeaTac Municipal Code (SMC) Section 7.45.050, the living wage rate in effect for hospitality and transportation employees within the City will increase to $20.17, effective January 1, 2025.
  • Tukwila (LINK): Effective January 1st, 2025, Tukwila Minimum Wage hourly rates will be:

    (On  July 1st, 2025, mid-size employer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ir minimum wage rate to equal the large employer rate of $21.10) Going forward, mid-size employer minimum wage will be the same as the large employer rate.